티스토리 뷰
저희 집 피쉬본의 시작은 2022년 여름철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니까 작년 여름이죠? 이쁜 꽃집에서 피쉬본 모종을 이쁜 화분에 담아서 데리고 온 것이 그 시작이었습니다. 그 이후 야매분갈이를 통해 겨울철 한번 분갈이를 하였는데요. 분갈이를 하게 된 이유와 분갈이 과정은 아래링크를 걸어둘 테니 참고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분갈이 후에 또다시 번식을 시작한 우리 집 피쉬본! 그 근황을 시작하겠습니다.
1.피쉬본의 근황(2023년 6월 기준)
정확한 시작은 분할 후 2~3개월 지날 때였습니다. 그러니까 올해 2~3월쯤이었어요. 겨울이라 집안에서 기르고 있었는데 갑자기 뭐가 톡 올라오더라고요. 1차 번식을 한지라 더 이상 안 올라올 거라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기특하게도 또 꾸물꾸물 도약할 준비를 하더라고요. 그러더니 현재 저렇게 길어졌습니다. 다만 예전에는 뭔가 모종같이 심을 수 있는 형태라면 지금은 미역줄기같이 아주 길다라게 자랗더라구요. 다른 사진들을 보니 저 미역줄기 같은 모양으로 여러 개 나기도 하던데 마음속으로는 저런 게 조금 더 싹을 트고 올라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2. 야매분갈이 후 2번째 번식 중인 피쉬본, 피쉬본 잘 키우는 법
저희 집 피쉬본은 벌써 2번째 번식입니다. 처음엔 뭣도 모르고 햇빛 잘 받게 하고 다육인지라 따듯하게만 하면 되는 줄 알고 온도유지에 신경 썼습니다. 그리고 물은 흙이 아주 바짝 마를 때까지 잘 주지 않았죠. 현재도 비슷한 방법으로 키우고 있지만 조금 주의해야 할 점이라면 다육식물은 습기에 약하니(과습 불가) 이제 곧 다가올 장마에 너무 많은 물을 줘서 흙이 계속 습하게 되면 다육이가 죽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마 전에 물을 듬뿍 주시고 장마가 너무 오래 지속되면 잠시 실내에 들이세요.
피쉬본 잘 키우는 법
①직사광선은 피할 것(바로 들어오는 햇빛보다 창을 통해 들어오는 햇빛이 좋습니다)
②반음지, 반양지 식물로 최저 15 이상 유지가 필요하며 겨울에는 특히 10도 이상의 온도유지가 필요합니다.
③원산지는 멕시코로 더운 열대우림에 사는 식물이므로 높은 습도가 생각보다 필요해서(그렇다고 과습은 금물) 너무 건조한 경우는 피해 주세요.
④물 주는 법은 손가락을 한마디정도 깊숙하게 흙에 찔렀을 때 그 안쪽까지 마른 느낌의 흙일경우 물을 줍니다. 물을 주는 주기가 짧지 않기 때문에 한번 줄 때 듬뿍 주는 게 좋습니다.
⑤어쩔 수 없이 건조한 환경에 있게 되는 경우 생각보다 흙이 금방 마르므로 물 주기에 신경 써 주세요.(보통 3~4주 주기)
3. 피쉬본의 특징
피쉬본의 경우 생선가시를 닮아 생선뼈 선인장 또는 생선가시선인장이라고 많이들 알고 있습니다. 특히 공기정화에 도움 되는 다육이과로 침실에 두고 키워도 좋을 만큼 공기정화능력이 좋습니다. 다만 침실이 너무 음지인 경우에는 안되니 적당한 반음지가 중요합니다. 어떤 식물이든 통풍의 환경은 중요하니까요. 또한 다육이지만 선인장과 이기 때문에 자세히 보면 선인장을 매우 닮았답니다. 행잉플랜트로도 많이 키우고 저희 집 피쉬본같이 모종으로 하나씩 키우기도 하니 귀엽고 깔끔한 식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인테리어에도 이쁠만큼 미관을 헤치지않죠.
현재 저희집 피쉬본처럼 잎이 늘어지고 길어지면서 나게 된다면 가지치기처럼 잘라줘도 좋습니다. 자른 피쉬본은 또 다른 화분에 심어서 번식해 주면 또 자랍니다. 번식력이 좋은 식물이에요. 수경으로도 키울 수 있으니 물에 한줄기 담거나도 살아납니다.
피쉬본 특징정리
①공기정화에 도움 되는 식물
②반음지, 반양지 식물로 적당한 통풍과 햇빛이 들어오는 환경에서 키워야 합니다(침실에서 키울 경우)
③행잉플렌트나, 모종으로 이쁘게 하나 키우거나, 수경식물로 키우기도 가능하므로 인테리어에 좋습니다.
④번식해서 길다라게 자란 피쉬본은 적당하게 잘라 또 다른 화분에 심어주면 다시 번식이 가능합니다.
4. 다육이 키우기
다육식물은 잎 또는 줄기 속에 저수조직이 발달하여 다육 화한 식물로 건조하거나 염분이 많은 땅에서 잘 나타나고 내건성이 강하며 선인장 따위를 일컫습니다. 우기와 건기가 뚜렷하게 구분되는 사막지역이나 고산지대, 한랭지, 해안지대, 염호지대등에서 잘 자라며 건조한 환경에 적응하여 독립적으로 진화한 형태로서 하나의 분류군을 이루고 있습니다. 특히 남아프리카나 마다가스카르섬에 많이 분포해 있습니다.
다육이 종류
데렌올리버, 캡틴 헤이, 선인장, 산취선인장, 용설란, 파티오라금, 콩란, 셋올리버등 수많은 종류가 있습니다.
'식물키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렌지쟈스민의 근황, 씨앗발아 성공후 어떻게 되었을까?특징과 잘키우는법 (0) | 2023.06.26 |
---|---|
집에서 식물 기르기의 효과, 직접 키워보니 너무 좋았던점 3가지! (0) | 2023.06.01 |
직접 키워보니 집에서 키우기 좋은식물 5가지 추천 (1) | 2023.06.01 |
[멕시코 소철의 근황3] 새로운 새싹이2개씩이나 나다니.. 한번 나오기시작하니 빠르게 커지는 소철근황 (0) | 2023.03.15 |
꽃피우고 열매를 남겼던 오렌지쟈스민의 근황, 오렌지쟈스민 잎떨어짐 (0) | 2023.02.27 |